개발/윈도우 13

윈도우 cmd 활용하여 파일명 추출

안녕하세요.직장인분들 업무를 진행하다보면특정 경로의 파일들의 이름을 추출해야될 때가 있습니다. 윈도우 CMD창을 활용하여파일명을 추출할수 있고 하위디렉토리의 파일명까지 추출할 수 있습니다.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텍스트(txt)파일로 만들 예정입니다. 먼저 CMD창을 켭니다.'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하셔서 켜도되고'윈도우키 + R'을눌러 실행창을 활용하여 cmd입력으로 창을 활성화 시킬 수 있습니다.※ 윈도우키 : 컨트롤(Ctrl)과 알트(Alt) 사이의 키 창이 활성화되면 추출하고하자는 디렉토리로 이동해야 합니다.이동하는 명령어는 CD를 활용합니다. 위의 파일들이 존재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C:\Users\0000\Desktop\test 그러므로 이동 ..

개발/윈도우 2020.07.28

윈도우 10 로그인 계정 비밀번호 변경 및 설정

안녕하세요.오늘은 간략하게 윈도우10 로그인, 로그오프시 사용되는비밀번호를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몇번 해봤긴했엇는데 할때마다 잊어버려서자꾸 찾아보게 되네요.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윈도우 키를 누르시고 '설정' 모양 아이콘을 선택합니다.의외로 윈도우키를 모르시는분들도 제법 계십니다.윈도우키는 키보드에서 컨트롤(ctrl)과 알트(alt) 사이에 있습니다. 저희는 윈도우 로그인 계정에 대한비밀번호를 변경등 설정을 할것이기 때문에'계정'으로 들어갑니다. 계정으로 들어오시면좌측 목록중 '로그인 옵션'이 있습니다.선택하세요. 윈도우10도 점점 업그레이드를 통해계정에 대한 기능이 많아졌네요.사실 다른 기능들은 별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비밀번호' 메뉴를 선택하면 활성화되면'변경' 버튼이 보이게 됩니..

개발/윈도우 2020.07.17

윈도우 cmd 명령어로 압축 및 압출해제 하기 (zip, unzip)

안녕하세요.저는 대용량 파일에대해 처리를 할때 CMD창을 자주 활용합니다.특히 복사나 삭제같은 경우에는 처리속도가 훨씬 빠르죠앞서 포스팅도 하였습니다.[개발/윈도우] - 윈도우 cmd 명령어로 복사, 삭제 하기[개발/윈도우] - [메모]윈도우 cmd 명령어 및 프로그램 실행 이번에는 윈도우의 CMD창을 활용하여 압축을 해보겠습니다.기본적인 명령어는 zip [압축할 파일명] [압축대상] 이라고하는데 테스트로 실행해보니다음과같은 결과가 출력되었습니다. zip과 unzip은 윈도우의 기본명령어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나봅니다.따로 zip, unzip 파일을 다운받아야 합니다.다음의 사이트를 접속합니다.http://stahlworks.com/dev/?tool=zipunzip위의 사이트에서 zip, unzip 파일을 ..

개발/윈도우 2020.07.10

(net use) 다른 네트워크 cmd로 접근하기

안녕하세요.저는 대용량 파일 및 폴더에 대해 cmd 창을 활용하여 복사 및 삭제를 하는데요.시간이 훨씬 빠르기 때문입니다.CMD 복사 및 삭제 관련한 포스팅은 이전에 한적이 있습니다.[개발/윈도우] - [메모]윈도우 cmd 명령어 및 프로그램 실행 현재 프로젝트에서 NAS를 설치하고 사용하고 있는데다른 네트워크에 대해 cmd 창으로 접근하는 법을 몰랐었습니다.net use를 사용하면 되더군요. net use를 사용하지 않고 접근해보았습니다.xcopy나 del 명령어로 접근해보니잘못된 드라이브 지정, 0개 파일 복사 라는 문구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저는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시켰습니다.이제 net use를 사용해보겠습니다.명령어실행net use \\IP번호 - > net use \\x..

개발/윈도우 2020.07.02

윈도우에서 IMG 확장자 보기 (IMG 확장자 보는방법)

안녕하세요.오늘은 IMG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조회하는 방법입니다.윈도우 7에서는 기본적으로 보인것 같았는데윈도우 10에서는 Viewer가 제공되지 않는 모양입니다. IMG 확장자 보는법 포스팅하겠습니다. 먼저 레지스트리를 확인합니다.'윈도우 + R' 키를 눌러 regedit 명령어를 실행 시킵니다. 들어오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경로를 찾습니다. 들어와서Windows Photo Viewer - Capabilities - FileAssociations의 경로를 찾습니다. 우측에 목록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윈도우 10에서는jpg, tif, tiff, jpeg에 대한 레지스트리가 등록되어 있습니다.사진상..

개발/윈도우 2020.06.19

윈도우 절전모드 USB 키보드 미인식 문제 해결

안녕하세요.저는 현재 윈도우10을 사용중에 있습니다.그리고 컴퓨터는 2대를 사용하는 KVM이라는 변환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이 변환기를 사용하여 컴퓨터는 2대를 사용하고, 키보드와 마우스는 각 1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상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2대의 컴퓨터가 동일한 조건인데 컴퓨터의 절전 모드시에 키보드를 누르면 인식이 안되는 것이었습니다.지금부터 절전모드에서 USB인식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위해 설정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바탕화면에서 우클릭을 합니다.여러 메뉴가 나오는데 '디스플레이 설정' 으로 들어갑니다. 바로 빨색으로 표시되어있는 '추가 전원 설정'으로 갑니다.절전에 관련되어 있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설정 변경'이라는 메뉴가 있는데 표시되어 있는 곳 중 아무곳이나 들어가도 ..

개발/윈도우 2019.09.27

윈도우 10 업데이트 및 재부팅 끄기

안녕하세요.원래 윈도우 7를 사용하는데 최근 윈도우 10 사용할 빈도가 높아졌습니다.윈도우 7에서는 서비스를 끄고 윈도우 업데이트를 끄면컴퓨터가 업데이트도 되지 않을 뿐더러 자동으로 재부팅되는 일은 없었습니다. 하지만....윈도우 10에서는 자꾸 하루 지나면 재부팅되어서 이만저만 괴로웠습니다. 기본적으로 한일1. 윈도우 업데이트 서비스 종료. -윈도우 하단의 '돋보기' 표시를 선택한 다음 '서비스'로 검색합니다. 많은 서비스들이 나오는데 'window update' 서비스를 찾은 다음 '사용하지 않음'으로 바꾸었습니다. 2. update 설정 - 윈도우 하단의 '돋보기'표시를 선택한 다음 'update'로 검색하여 '업데이트 확인'을 들어갑니다. 들어가 업데이트 알림도 끄고 고급설정에가서 업데이트 중지 ..

개발/윈도우 2019.02.12

윈도우7 원격 접속 설정 (외부접속)

안녕하세요.윈도우7 원격설정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저도 회사, 학교 다닐때 많이 썼고 지금도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번 설정해놓으면 계속 쓰기 때문에 설정할때마다 까먹어 버리네요.지금 바로 설정을 같이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컴퓨터 원격 허용 설정 시작 - 컴퓨터 우클릭 - 속성으로 들어옵니다.일반 제어판으로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혹은 제어판 - 시스템 클릭 하시면 됩니다. 들어오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아래에는 시스템 등급, 프로세서, 컴퓨터 이름등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이중에서 좌측에 보이시는 '원격 설정'을 선택 합니다. 저는 어차피 컴퓨터 비밀번호가 걸려있어서'모든 버전의 원격 데스크톱을 실행 중인 컴퓨터에서 연결 허용' 을 선택했습니다.다른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로 원격..

개발/윈도우 2017.12.21

윈도우 cmd 명령어로 복사, 삭제 하기

안녕하세요.컴퓨터를 하다가 적어두어야 할거 같아 시간 내서 적어둡니다. 대량의 파일을 복사, 삭제 할때 시간 엄청 걸리지 않나요?남은시간 계산한다 ~ 어쩌구 저쩌구....복사, 삭제 시작은 한참뒤에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이 남은시간 계산을 지우는 방법도 있지만저는 그냥 바로 cmd 창에서 실행시켰습니다. 그냥 하는것보다 cmd창이기 때문에 cpu, 메모리가 조금 덜 드는것 같았습니다.저는 약 1,000GB 파일을 옮기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옵션은 제가 실전에서 활용하고 있는 명령어 입니다.찾아보시면 더욱 많은 옵션들이 많습니다. 파일 복사 명령어xcopy [옮기고자하는 파일,디렉토리] [옮겨질 디렉토리] /e /k /h 옵션 설명/k : 특성 복사, 일반적으로 xcopy는 읽기 전용 특성을 지웁니..

개발/윈도우 2017.12.06

Window 현재 실행중인 포트 확인 및 종료

sts 이클립스로 개발하다가 프로그램을 종료 하였는데도...8080포트가 살아있었다.이런경우는 처음이어서 당황 했지만 강제로 종료 시키기로 결정 하였다. 실행 화면 특정 포트로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netstat -ano | find "8080" 프로세스 종료(죽이기)taskkill /pid 12868 /f 그리고 PID로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려면tasklist | findstr 12868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된다. 간단한 내용이지만 모르면...절대 할수 없다는사실!컴퓨터에 대한 지식의 넓이는 너무 넓다.

개발/윈도우 2017.11.03